한국소비자원(원장 이희숙)과 행정안전부(장관 진 영)는 코로나19로 아이들이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장난감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.
최근 3년간(‘17~’19)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(CISS)에 접수된 장난감(완구)과 관련된 위해정보는 총 6,253건이며, 이 중 63.0%(3,940건)가 가정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이고, 가정 내 완구 안전사고의 95.1%(3,748건)는 14세 미만 어린이에게 발생했고, 이 중 5세 미만 영·유아 사고가 80.6%에 달해 가정 내에서는 5세 미만의 영·유아의 삼킴 및 삽입 사고가 가장 많은 걸로 나타났다.
사고 유형으로는 구슬, 비비탄, 풍선 등을 입이나 코, 귀 등에 넣어 발생하는 ‘삼킴·삽입’ 관련 사고가 52.9%로 가장 빈번했고, ‘부딪힘’ 14.7%, ‘추락’ 10.6%이 뒤를 이었다.
삼킴 사고는 자칫 기도가 막혀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, 3세 미만 영아뿐만 아니라 3세 이상의 유아에게도 많이 발생하고 있어 어린이가 장난감을 입에 넣지 않도록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..
또, 완구 관련 가정 내 안전사고 중 미끄럼틀, 그네, 트램펄린과 같은 대형 완구에서는 ‘추락’ 사고가 주로 발생 해 대형 완구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사고 예방을 위해 두꺼운 매트와 같은 충격 완화를 위한 바닥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완충바닥재가 모든 부상을 방지하지는 못하므로 보호자의 적절한 감독과 주의가 필요하다고도 밝혔다.
또한,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들에게 완구 구매 시 제품별 사용가능 연령, 자녀의 신체발달 정도, 주의 문구 등을 고려해 제품을 선택하고, 정기적으로 완구의 파손 여부를 체크해 이상이 있을 시 즉시 수리 또는 폐기하고, 어린이가 스스로 안전하게 놀이하고 정리하는 방법을 알려줄 것 등을 당부했다.
<저작권자 ⓒ 시사더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>
![]()
댓글
장난감, 사고, 장난감 사고 관련기사목록
|
여성/아동 많이 본 기사
|